이것저것/공부기록

if only (과거, 현재, 미래)와 가정법(과거, 과거완료, 미래)/ were to

투게더 :) 2025. 2. 5. 15:17
반응형

📌 "If only" 완벽 정리!

👉 "If only"는 가정법에서 사용되며, 소망이나 후회를 강조할 때 쓰는 표현이야!
👉 "If" 단독 사용보다 더 강한 감정을 담을 수 있음.


1. "If only"의 기본 의미

💡 기본 개념:

  • "If only + 주어 + 동사"
  • 뜻: "~하기만 하면 (좋을 텐데)", "~했더라면 (좋았을 텐데)"
  • 강한 바람이나 후회를 표현할 때 사용함.
  • "I wish"와 비슷하지만, 더 강조된 느낌!

2. "If only"의 3가지 유형 (현재, 과거, 미래)

📌 ① 현재에 대한 소망 → "If only + 과거형"
현재 상황이 다르기를 바람
→ 가정법 과거 (현재 사실과 반대)
예문:

  • "If only I knew the answer!"
    → (나 지금 답을 몰라. 하지만 알기만 하면 좋을 텐데.)
  • "If only she were here."
    → (그녀가 여기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 "If only I had more time!"
    → (시간이 더 많기만 하면 좋을 텐데.)

📌 ② 과거에 대한 후회 → "If only + 과거 완료형 (had + p.p.)"
과거에 일어나지 않은 일을 후회
→ 가정법 과거완료 (과거 사실과 반대)
예문:

  • "If only I had studied harder!"
    → (내가 더 열심히 공부했더라면 좋았을 텐데.)
  • "If only you had told me the truth."
    → (네가 나에게 진실을 말했더라면 좋았을 텐데.)
  • "If only we had left earlier!"
    → (우리가 더 일찍 출발했더라면 좋았을 텐데.)

📌 ③ 미래에 대한 강한 바람 → "If only + 주어 + would + 동사원형"
미래에 대한 바람을 나타냄
→ "would"를 사용하여 상대방이 어떤 행동을 하길 바란다는 의미
예문:

  • "If only it would stop raining!"
    → (비가 그치기만 하면 좋을 텐데.)
  • "If only he would listen to me."
    → (그가 내 말을 듣기만 하면 좋을 텐데.)
  • "If only they would be on time!"
    → (그들이 제시간에 오기만 하면 좋을 텐데.)

3. "If only" vs. "I wish" 차이점

If only I wish

강조더 감정적이고 강조된 표현일반적인 소망, 후회 표현
현재 소망"If only I knew the answer!""I wish I knew the answer."
과거 후회"If only I had studied harder!""I wish I had studied harder."
미래 바람"If only it would stop raining!""I wish it would stop raining."

"If only"는 감정을 훨씬 강하게 표현할 때 사용!
"I wish"는 일반적인 바람이나 후회에 더 적합.


4. "If only"를 활용한 다양한 문장 예시

🚀 일상 회화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들!
현재 소망:

  • "If only I were rich!" → (내가 부자라면 좋을 텐데!)
  • "If only my parents understood me." → (부모님이 날 이해해 주시기만 하면 좋을 텐데.)

과거 후회:

  • "If only I hadn't lost my phone!" → (휴대폰을 잃어버리지 않았더라면 좋았을 텐데!)
  • "If only she had listened to me." → (그녀가 내 말을 들었더라면 좋았을 텐데.)

미래 바람:

  • "If only my boss would give me a raise!" → (상사가 내 월급을 올려주면 좋을 텐데!)
  • "If only summer would last forever." → (여름이 영원히 지속되면 좋을 텐데.)

5. 결론

💡 "If only"는 강한 소망이나 후회를 나타낼 때 사용되는 가정법 표현!
💡 현재, 과거, 미래에 따라 동사 형태가 달라짐!
💡 "I wish"보다 감정을 더 강조하는 느낌!
 
 

📌 미래인데 왜 "would"를 쓰는지 설명해줄게!

👉 보통 미래를 나타낼 때 **"will"**을 쓰지만, "If only + 주어 + would + 동사" 구조에서는 "will"이 아니라 "would"를 써.
👉 이유는 "would"가 단순한 미래 시제가 아니라, "가능성이 낮은 희망"이나 "상대방의 의지"를 포함하기 때문이야!


1. "If only + 주어 + would"는 상대방이나 외부 환경이 바뀌기를 바랄 때 사용!

💡 "If only + 주어 + would + 동사"
→ 미래에 대한 희망을 나타내지만, **"내가 통제할 수 없는 일"이나 "상대방이 바뀌기를 바라는 마음"**을 포함함.
→ **"상대방이 (스스로의 의지로) 그렇게 해줬으면 좋겠다"**는 의미를 강조함!
예문:

  • "If only it would stop raining!"
    → (비가 그치기만 하면 좋을 텐데!)
    → ☔ (비가 그치는 것은 내 통제 밖이라서 "would"를 사용함!)
  • "If only she would call me back."
    → (그녀가 내게 다시 전화해 주기만 하면 좋을 텐데.)
    → ☎ (그녀가 전화하는 것은 그녀의 의지에 달려 있어서 "would"를 사용함!)
  • "If only he would listen to me."
    → (그가 내 말을 듣기만 하면 좋을 텐데.)
    (그가 내 말을 들을지 말지는 그의 선택이라서 "would"를 씀!)

2. 왜 "will"이 아니라 "would"를 쓸까?

💡 "would"는 조심스럽거나 공손한 뉘앙스를 줘서, 상대의 행동을 바라는 표현에 적합함!
"will"을 쓰면 자연스럽지 않은 이유
❌ "If only she will call me back." (X)
(will은 단순한 미래 시제이기 때문에, "바람"이나 "희망"을 강조하는 표현에는 어울리지 않음.)
"would"를 써야 자연스러움
✔ "If only she would call me back." (O)
(그녀가 자기 의지로 전화해 주기를 바라는 뜻이 됨.)
📌 "will"은 단순한 미래 예측이고, "would"는 상대방의 의지가 필요할 때 사용!


3. "If only + 주어 + would"를 쓰는 경우 vs. 안 쓰는 경우 비교

구조 언제 사용? 예문

If only + 주어 + would상대방이나 환경이 바뀌길 바랄 때"If only my parents would let me go out!" (부모님이 나가게 해주면 좋을 텐데.)
If only + 과거형현재 사실이 다르길 바랄 때"If only I had more time!" (시간이 더 많았으면 좋을 텐데.)
If only + 과거 완료형과거에 대한 후회"If only I had studied harder!" (내가 더 열심히 공부했더라면 좋았을 텐데.)

4. 결론

💡 "If only + 주어 + would"를 쓰는 이유는?
"would"가 "가능성이 낮은 희망"이나 "상대방의 의지"를 강조하기 때문!
✅ **"If only it would stop raining!"**처럼 자연현상에도 사용 가능!
✅ **"If only he would listen to me."**처럼 상대방이 바뀌길 바라는 표현에 적합!
"will" 대신 "would"를 써야 자연스럽고, "바람"의 느낌을 살릴 수 있음!
 
 

📌 현재의 가정인데 왜 과거동사를 사용할까?

👉 이유는 영어의 가정법(가정법 과거) 때문이야!
👉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가정을 할 때, 동사를 과거형으로 쓰는 것이 규칙"**이야.
👉 하지만 **진짜 과거를 말하는 게 아니라, "현재와는 다른 가상의 상황"**을 표현하는 것뿐이야!


1. 가정법 과거란?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가정)

📌 현재의 사실과 반대되는 가정을 할 때, 동사를 "과거형"으로 사용!
📌 하지만 의미는 과거가 아니라 현재임.
📌 be 동사는 주어가 누구든 "were"로 쓰는 게 일반적!
예문:

  • "If I were rich, I would travel the world."
    → (내가 부자라면, 세계 여행을 할 텐데.)
    (하지만 실제로 나는 부자가 아님! 현재와 반대되는 상황을 가정함.)
  • "If she knew the answer, she would tell us."
    → (그녀가 정답을 안다면, 우리에게 말해줄 텐데.)
    (하지만 그녀는 정답을 모름! 현재와 반대되는 가정임.)
  • "If only I had more free time!"
    → (내가 자유 시간이 더 많았으면 좋을 텐데!)
    (하지만 나는 시간이 부족함.)

2. 가정법 과거의 공식

"If + 주어 + 과거동사, 주어 + would + 동사원형"
현재의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을 가정할 때 사용!
📌 예문:

  • "If I were you, I wouldn’t do that."
    → (내가 너라면, 그렇게 안 할 텐데.)
    (하지만 나는 너가 아님!)
  • "If she had a car, she would drive to work."
    → (그녀가 차가 있다면, 차를 타고 출근할 텐데.)
    (하지만 그녀는 차가 없음!)

3. 왜 "과거형"을 쓰는 걸까?

💡 과거형을 쓰는 이유는 **"현재와 다르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야!
💡 진짜 과거를 말하는 게 아니라, "현재와는 다른 가상의 상황"을 나타내는 것.
💡 과거형을 사용하면 현실과 다른 느낌을 더 강하게 줄 수 있음!
예문 비교
문장 해석 현실

"If I am rich, I will travel."(내가 부자가 되면, 여행할 거야.)가능성이 있음 (조건절, 현실적)
"If I were rich, I would travel."(내가 부자라면, 여행할 텐데.)현재 부자가 아님! (가정법 과거)

4. "If only"도 같은 원리!

💡 "If only + 주어 + 과거동사" =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소망
💡 현재와 반대되는 가정을 표현할 때도 과거형 사용!
예문:

  • "If only I were taller!"
    → (내가 더 키가 컸으면 좋을 텐데!)
    (하지만 나는 키가 작음.)
  • "If only she knew how much I liked her!"
    → (그녀가 내가 얼마나 좋아하는지 알기만 한다면!)
    (하지만 그녀는 모름.)

5. 결론

✅ 현재의 가정법에서는 과거형 동사를 사용하지만, 의미는 현재!
✅ **"If I were you"**처럼 be 동사는 주어가 누구든 "were"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
✅ "If only + 과거형"도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소망을 나타낼 때 사용!
✅ 영어에서는 과거형을 쓰는 것이 "비현실적"이라는 걸 강조하는 역할을 함!
 
 

📌 가정법의 종류: 가정법 과거, 가정법 과거완료, 가정법 미래 정리!

영어에서 가정법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어:
1️⃣ 가정법 과거 →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가정
2️⃣ 가정법 과거완료 → 과거 사실과 반대되는 가정
3️⃣ 가정법 미래 → 미래에 거의 불가능한 상황을 가정


1. 가정법 과거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가정)

📌 "현재"의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을 가정할 때 사용
📌 동사를 "과거형"으로 쓰지만, 의미는 현재!
📌 "If + 주어 + 과거동사, 주어 + would/could/might + 동사원형"
예문:

  • "If I were rich, I would buy a mansion."
    → (내가 부자라면, 대저택을 살 텐데.)
    (하지만 나는 부자가 아님.)
  • "If she knew my secret, she would be shocked."
    → (그녀가 내 비밀을 안다면, 충격받을 텐데.)
    (하지만 그녀는 모름.)

📌 be 동사는 주어가 누구든 "were"가 일반적! ("was"도 쓰이긴 함.)
✔ "If I were you, I wouldn’t do that." (내가 너라면 그렇게 안 할 텐데.)


2. 가정법 과거완료 (과거 사실과 반대되는 가정)

📌 "과거"에 실제로 일어나지 않은 일을 가정하고 후회할 때 사용
📌 동사를 "과거완료(had + p.p.)"로 씀!
📌 "If + 주어 + had + p.p., 주어 + would/could/might + have + p.p."
예문:

  • "If I had studied harder, I would have passed the exam."
    → (내가 더 열심히 공부했더라면, 시험에 합격했을 텐데.)
    (하지만 공부를 열심히 안 해서 시험에 떨어짐.)
  • "If she had left earlier, she wouldn’t have missed the train."
    → (그녀가 더 일찍 출발했더라면, 기차를 놓치지 않았을 텐데.)
    (하지만 늦게 출발해서 기차를 놓침.)

3. 가정법 미래 (미래에 실현 가능성이 거의 없는 가정)

📌 미래에 가능성이 매우 낮거나 비현실적인 일을 가정할 때 사용
📌 "If + 주어 + should/were to + 동사, 주어 + would/could/might + 동사원형"
예문:

  • "If she should call, tell her I’m not here."
    → (만약 그녀가 전화한다면, 내가 없다고 해 줘.)
    (전화할 가능성이 거의 없지만, 혹시라도 하면.)
  • "If he were to become president, he would change the law."
    → (만약 그가 대통령이 된다면, 법을 바꿀 텐데.)
    (대통령이 될 가능성이 거의 없음.)

📌 "Should"를 사용하면 가능성이 낮지만 "혹시라도"라는 뉘앙스 추가!
📌 "Were to"는 더 강한 비현실적 뉘앙스!


🚀 가정법 3가지 비교 정리

종류 설명 공식 예문

가정법 과거현재와 반대되는 가정If + 주어 + 과거동사, 주어 + would + 동사원형If I were rich, I would buy a house. (내가 부자라면, 집을 살 텐데.)
가정법 과거완료과거와 반대되는 가정If + 주어 + had + p.p., 주어 + would have + p.p.If I had studied, I would have passed. (내가 공부했더라면, 합격했을 텐데.)
가정법 미래미래의 가능성이 낮은 가정If + 주어 + should/were to + 동사, 주어 + would + 동사원형If he were to win, I would be shocked. (그가 이긴다면, 나는 충격받을 거야.)

4. 혼합 가정법 (현재+과거, 과거+현재 섞인 경우!)

💡 과거와 현재 상황을 동시에 가정할 때 가정법을 섞어서 사용할 수도 있어!
예문:

  • "If I had studied harder, I would be a doctor now."
    → (내가 더 열심히 공부했더라면, 지금 의사가 됐을 텐데.)
    (과거에 공부를 안 해서, 지금 의사가 아님.)
  • "If she had taken that job, she would be rich now."
    → (그녀가 그 직업을 선택했더라면, 지금 부자가 됐을 텐데.)
    (과거에 그 직업을 선택 안 해서, 지금 부자가 아님.)

📌 "If + 주어 + had + p.p., 주어 + would + 동사원형"
📌 과거를 가정하면서 현재 상황에 영향을 주는 경우!


5. 결론

가정법에는 가정법 과거, 가정법 과거완료, 가정법 미래가 있음!
현재와 반대되는 가정 → "가정법 과거 (과거형 동사 사용, 의미는 현재)"
과거와 반대되는 가정 → "가정법 과거완료 (had + p.p. 사용, 의미는 과거)"
미래의 가능성이 낮은 가정 → "가정법 미래 (should/were to 사용)"
과거와 현재를 섞어서 혼합 가정법도 가능!
 

📌 "Were to"의 의미와 용법

👉 **"Were to + 동사원형"**은 미래에 가능성이 극히 낮거나 비현실적인 상황을 가정할 때 사용해!
👉 보통 If절에서 쓰이며, 일반적인 가정법보다 더 비현실적인 뉘앙스를 줘.
👉 **"만약 ~한다면 (거의 불가능하지만)"**이라는 뜻이야!


1. "Were to"와 일반 가정법 과거 비교

💡 일반적인 가정법 과거는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가정이야.
💡 하지만 "were to"는 미래 가능성이 거의 없는 일을 가정할 때 사용돼!
일반 가정법 과거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가정)

  • "If I were rich, I would travel the world."
    → (내가 부자라면, 세계 여행을 할 텐데.)
    (하지만 나는 부자가 아님.)

"Were to"를 사용한 가정법 미래 (미래 가능성이 극히 낮은 가정)

  • "If I were to win the lottery, I would buy a castle."
    → (만약 내가 로또에 당첨된다면, 성을 살 텐데.)
    (하지만 당첨될 가능성이 거의 없음!)

📌 "Were to"를 사용하면 더욱 비현실적이고 극단적인 가정이 됨!
📌 보통 **"일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는 일"**을 강조할 때 사용해!


2. "Were to"의 기본 공식

📌 "If + 주어 + were to + 동사원형, 주어 + would/could/might + 동사원형"
예문:

  • "If the sun were to explode, life on Earth would end immediately."
    → (만약 태양이 폭발한다면, 지구의 생명은 즉시 사라질 것이다.)
    (하지만 태양이 갑자기 폭발할 가능성은 거의 없음!)
  • "If she were to quit her job, she might regret it later."
    → (그녀가 만약 일을 그만둔다면, 나중에 후회할지도 몰라.)
    (하지만 그녀가 일을 그만둘 가능성은 낮음.)
  • "If aliens were to visit Earth, it would change history."
    → (만약 외계인이 지구를 방문한다면, 역사가 바뀔 거야.)
    (하지만 외계인이 올 가능성은 극히 낮음!)

3. "Were to" vs. "Should" 비교

💡 "Should"도 가정법 미래에서 쓰이지만, "실제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을 때" 사용돼!
💡 반면, "Were to"는 거의 불가능한 가정에 사용됨.
"Should"를 사용한 가정법 미래 (가능성이 낮지만 존재함)

  • "If he should call, tell him I’m not here."
    → (만약 그가 전화하면, 내가 없다고 해 줘.)
    (전화할 가능성이 거의 없지만, 혹시라도 하면.)

"Were to"를 사용한 가정법 미래 (거의 불가능한 가정)

  • "If he were to call, I would be very surprised."
    → (만약 그가 전화한다면, 나는 엄청 놀랄 거야.)
    (그가 전화할 가능성이 극히 낮음!)

📌 "Should" = 가능성이 조금 있음 (혹시라도!)
📌 "Were to" = 가능성이 거의 없음 (비현실적!)


4. "Were to"는 어떤 상황에서 자주 쓰일까?

공상, 가상의 상황을 이야기할 때
정말 가능성이 희박한 미래의 일을 가정할 때
중요한 결정이나 행동의 결과를 가정할 때
예문:

  • "If the government were to lower taxes, people would have more disposable income."
    → (만약 정부가 세금을 낮춘다면, 사람들은 더 많은 가처분 소득을 가질 텐데.)
    (하지만 정부가 세금을 낮출 가능성이 희박함.)
  • "If you were to become famous, how would your life change?"
    → (만약 네가 유명해진다면, 너의 삶은 어떻게 변할까?)
    (하지만 네가 유명해질 가능성이 크지 않음.)

🚀 결론: "Were to" 정리!

"Were to"는 미래에 거의 불가능한 가정을 표현할 때 사용!
"If + 주어 + were to + 동사원형, 주어 + would/could/might + 동사원형"
일반 가정법 과거보다 더 비현실적이고 극단적인 가정을 할 때 씀!
"Should"와 비교하면 "Should"는 가능성이 낮지만 존재하고, "Were to"는 거의 불가능한 상황을 가정하는 것!
 

ebs자료
https://static.ebs.co.kr/images/public/lectures/2023/11/1/0/10859875/2a78a686-59ad-48c0-91bd-3fd79ce1a4bc.pdf?utm_source=perplexity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