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이것저것/공부기록47

리듬앤 톡389 (amicable | equable | insatiable) 으악. 노래 진짜 안들리는데 배웠다고 insatiable 딱 들린다. 2025. 3. 18.
에리카의 리듬 앤톡 390 insecure I obscure Eric Carmen의 All by myself노래를 모르는 나지만, 그런 나도 알만큼 익숙하고 유명한 노래. 확신하긴 어렵지만 나는 가끔 불안감을 느낀다 사랑은 멀고 모호하게 느껴지고 치유를 남긴다문장끝 라임 밎춘게 시적이다.. 강의 끝나고 꼭 사전 찾아보기!!슨상님이 발음 강세가 틀리셨더란. 혹은 발음이 obscure 했다기엔 너무 쎄게 다른 강세로 발음하셨..1.명료하지 않은, 희미한, 2.눈에 띄지 않는, 유명하지 않은, 주의를 못 끄는3.잘 안보이고, 안들리고, 희미한 4. 어두침침, 컴컴한obscure가 동사로 쓰이면 1.hide, conceal, cover/ 2.make dark, dim 의미     21년 Insecure란 노래도 그리 나쁘지 않음.    FAMILY BUSINESS 앨범 .. 2025. 3. 15.
갑자기 미분/적분 예전에 다 배운건데 왜 들어도 모르겠지?초등학생도 이해한다는데 왜 나는 이해가 안되는가... 그래프 자료 보다가 우연히 미적분을 다시 공부하면 도움이 될 것 같아서아무거나 검색해서 틀어봤는데 (영상보면 쉬울줄 알고) 결코 쉽지 않다....  적분에서 d는 아주 작은 변화 (조각 내기)differential을 의미한다적분은 이 작은 조각들을 다 합치는 것 dx는 x의 아주 작은 변화량을 말한다.예를 들어 넓이를 구할 때, dx는 너비가 아주 작은 막대 하나그 조각들을 모두 더하면 전체 넓이가 된다. 미분에서는 변화율, 적분은 작은 조각들을 합치는 것을 의미한다.dx는 x방향으로 아주 작은 변화량dt는 시간t의 아주 작은 변화량ds는 길이의 아주 작은 변화량을 말한다. 미분은 순간 속도, 얼마나 빨리 변하는.. 2025. 3. 13.
지후영어 가정법 특강 보충수업 가정법 conditionalszero 일반적 사실 general truth 객관적 과학적 사실, 습관적/반복적 행위, 동작, 일반적 현상/상태if를 when으로 바꾸어도 대부분 말이 된다. 화자의 소망, 상상이 아니다. (직설법으로 쓴 조건문, 과학에서 가장 많이 쓴다)first 가정법 현재, 어떤 조건이라면 어떤 일이 앞으로 발생할 것이다. 앞으로 어떻게 하겠다. 설득, 경고에 많이 쓰인다.법조항, 계약서 등 사무적이고 격식적인 문서에서 사용될 때는 should써서 가능성을 떨어뜨려 혹시라도라는 의미를 암시하기도 한다.if를 생략하고 주어와 should를 도치시켜 공문 등에 잘 등장second 가상의, 비현실적인 것을 표현. 화자가 말하는 순간 이것이 사실이 아님을 인지하고 있을 때 쓰는 기법third.. 2025. 2. 21.
<영문법이 시급합니다>에서 가정법만 따로 공부 가정법 현재 (직설법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조건문)If 주어 + 동사 현재형, 주어 +조동사 현재형(will, can, may, be going to)+ 동사원형현재나 미래의 불확실한 것을 조건으로 하거나 상상에 사용(실현 가능성 높을 때, 현실에서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을 말할 때)If you hurry, you will arrive in time. 가정법 과거가정법 과거완료(위 두 가지는 이제 잘 알아서 스킵하는 여유가 생김) 혼합가정법If 주어+had p.p., 주어+조동사 과거형+동사원형가정법 과거완료와 가정법 과거를 혼합해서 사용하는 형태과거 행동이나 상태의 결과가 현재에도 영향을 미칠 때 사용과거 사실에 반대되는 가정이나 원망 등이 현재와 관련이 있을 때 쓴다과거에 ~했더라면 지금 ~할 텐.. 2025. 2. 21.
as if 가정법 + subjunctive mode 유튜브검색 자료 as if 가정법 과거완료과거의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을 가정할 때 사용형태: 주어 + 동사 + as if + 주어 + had + 과거분사의미: "마치 ~였던 것처럼"예문: She behaved as if she had known it. (그녀는 마치 그것을 알고 있었던 것처럼 행동했다)주의사항:주절의 시제와 관계없이 과거 사실을 가정할 때는 항상 'had + 과거분사'를 사용과거완료 형태를 사용하지만 과거 상황을 나타낸다.as if 가정법은 'as though'로 대체할 수 있으며, 같은 의미로 사용 중요한 점은 as if 절의 시제가 주절의 시제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입니다:주절과 같은 시점: as if + 가정법 과거주절보다 앞선 시점: as if + 가정법 과거완료  출처: 유튜브 Jen's Jugy.. 2025. 2.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