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저것/공부기록

과거와 과거완료

투게더 :) 2025. 2. 3. 21:24
반응형

📌 문장 분석:

"She hadn't seen him after they broke up."
"그녀는 그들이 헤어진 이후로 그를 본 적이 없었다."


🔹 구체적인 시간 예시

📅 상황 설정:

  • A와 B는 2022년 3월에 헤어졌다. (broke up → 과거)
  • 2023년 6월, A의 친구가 "너 걔 본 적 있어?"라고 물어본다.
  • A는 2023년 6월을 기준으로 **"헤어진 2022년 3월 이후로 한 번도 못 봤다"**라고 말하려고 한다.

✅ 이때, 과거 완료를 써서 이렇게 말하는 거야:
👉 "In June 2023, she hadn't seen him after they broke up in March 2022."

📌 왜 과거 완료(hadn't seen)를 쓰는 걸까?

  • "they broke up" (2022년 3월) → 과거의 한 사건
  • "she hadn't seen him" (2023년 6월 기준으로, 그 전까지 안 봄) → 2022년 3월 이후부터 계속 안 본 상태
  • 즉, "헤어진 이후"부터 "2023년 6월까지" 계속 안 본 상태를 강조하는 거야!

🔹 비교: 과거형과 과거 완료의 차이

1️⃣ She didn't see him after they broke up.
→ (단순 과거)
→ 그냥 **"헤어진 후 안 봤다"**라는 사실만 전달.
특정한 시점(2023년 6월 기준)이 없고, 단순한 사건을 말하는 느낌.

2️⃣ She hadn't seen him after they broke up.
→ (과거 완료)
→ **"헤어진 순간(2022년 3월)"부터 특정한 과거 시점(예: 2023년 6월)까지 계속 안 봤다"**는 의미.


🔹 또 다른 예시 (학교 관련 상황)

예제 문장:
"He hadn't studied English before he moved to the U.S."
"그는 미국으로 이사 가기 전까지 영어를 공부한 적이 없었다."

📅 시간 예시

  • 2019년 5월: 미국으로 이사 (과거 사건)
  • 2018년까지: 영어 공부 안 함 (더 이전의 과거 → 과거 완료)

👉 이때 **"he hadn't studied"**를 쓰면, 이사 가기 전까지 영어 공부를 한 적이 없었다는 뜻이 돼!


📌 최종 정리

과거 완료(hadn't seen)는 "과거의 한 사건"보다 더 이전부터 지속된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
"broke up" (과거) 이후부터 "어느 특정 과거 시점"까지도 본 적이 없음을 강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