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구조 분석
- 주어 (Subject):
- 동사 (Verb):
- 보어 (Complement):
즉, 문장의 기본 구조는 "What Uncle Andrew did was + to부정사구" 로 볼 수 있습니다.
- What Uncle Andrew did → 관계대명사절로서 주어 역할 (Uncle Andrew가 한 것)
- was → 주격 보어를 연결하는 동사
- to walk across to the door of the room, shut it, and turn the key in the lock → to부정사구 (보어)
해석
"삼촌 앤드루가 한 일은 방의 문까지 걸어가서 그것을 닫고, 자물쇠에 열쇠를 돌리는 것이었다."
핵심 문법 요소
- What ~ did was … → What ~ did는 명사절로서 주어 역할을 함.
- to부정사 보어 → was 뒤에 오는 동작이 여러 개일 때, 병렬구조로 사용 가능.
- 병렬 구조
- to walk across to the door
- shut it
- turn the key in the lock
→ 동사원형들이 병렬 구조를 이룸.
문장에서 to walk across to the door 는 to부정사인데, 뒤따르는 shut it과 turn the key in the lock 앞에는 to가 없는 이유는 병렬구조 때문입니다.문장의 핵심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여기서 **"to walk"**은 was의 보어 역할을 하는 to부정사입니다.즉,
✅ "to walk across to the door, to shut it, and to turn the key in the lock."
→ 이 문장도 문법적으로 맞지만, 영어에서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두 번째 이후의 to를 생략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2. 문법 용어
일반적인 예시
- He wants to eat, drink, and sleep. (to는 첫 번째 동사에만 사용)
- My goal is to study, work hard, and succeed.
이처럼 문장의 병렬구조를 형성할 때, 처음에 나온 to부정사만 유지하고 뒤따르는 동사들은 to 없이 원형 그대로 사용됩니다.
-
- 이런 현상을 부정사 to의 대용(ellipsis of 'to') 또는 **병렬구조에서 to의 생략(omission of 'to' in parallel structures)**이라고 합니다.
- 따라서 **"to walk across to the door, shut it, and turn the key in the lock"**처럼 쓰는 것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 그러나 영어에서는 같은 문법적 요소가 반복될 때, 두 번째 이후의 요소에서는 to를 생략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를 등위접속사(, and, or)로 연결된 병렬구조에서의 to부정사 생략이라고 합니다.
- "What Uncle Andrew did was to walk across to the door of the room, shut it, and turn the key in the lock."
병렬 구조 (Parallel Structure)
병렬구조에서 to부정사가 생략된 것인지, 아니면 그냥 일반 동사인지 헷갈릴 수 있는데, 다음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문장 구조를 살펴보기 (동사가 어디에 연결되는지 확인)
- to부정사 (to + 동사원형) 는 명사처럼 주어 / 보어 역할을 합니다.
- 일반 동사는 주어와 바로 연결되어 문장을 형성합니다.
🔹 예제 1: to부정사의 병렬 구조
His dream is to travel, meet new people, and learn different cultures.
✅ **"to travel"**이 보어 역할을 하고, 뒤의 **"meet"**과 **"learn"**이 병렬구조에서 to가 생략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 **"His dream is meet new people"**처럼 하면 문장이 이상해지므로, meet은 to부정사에서 생략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음.
🔹 예제 2: 일반 동사
He travels, meets new people, and learns different cultures.
✅ travels, meets, learns → 전부 일반 동사이고, 주어 He와 바로 연결됨.
🚨 여기서 to travel을 넣으면 의미가 이상해짐! → "He to travel, meets new people, and learns different cultures." ❌ (X)
2. 동사 자리의 역할 확인 (보어 or 본동사?)
🔹 to부정사는 주어 또는 보어 역할을 함
🔹 일반 동사는 문장의 본동사 역할을 함
비교 예제
✅ "His plan is to work hard, save money, and buy a house."
→ His plan is to work hard (주어 + 동사 + 보어 구조) → to부정사의 병렬구조!
🚨 "His plan is work hard, save money, and buy a house." (X)
→ 보어 자리에는 to부정사가 와야 해서 문장이 이상해짐!
✅ "He works hard, saves money, and buys a house."
→ 일반 동사가 나열된 정상적인 문장!
3. 첫 번째 동사가 무엇인지 확인하기
to부정사가 나왔으면 그 뒤의 동사들도 to부정사일 가능성이 높음!
예제
✅ "She decided to stay, rest, and think about her future."
- 첫 번째 동사가 decided to stay → to부정사
- 뒤의 rest와 think는 to가 생략된 것!
🚨 "She decided stay, rest, and think about her future." (X)
→ decided 뒤에는 to부정사가 필요하므로 stay는 to stay가 되어야 함!
결론
✔ to부정사인지 일반 동사인지 구분하는 방법
- 문장 구조 확인 → 보어 자리면 to부정사, 주어와 직접 연결되면 일반 동사
- 첫 번째 동사가 to부정사를 취하는지 확인 → 그러면 뒤의 동사도 to부정사!
- 일반 동사는 보통 주어와 함께 쓰이고, to부정사는 보어 역할을 한다
'이것저것 > 공부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I've got to go home. (have got to 표현; 해야 한다) (0) | 2025.02.04 |
---|---|
a fool of a sister. (a ~ of a ~ 표현) (0) | 2025.02.04 |
[중학교 수학] 평행선에서 동위각, 엇각의 응용 (0) | 2025.02.04 |
동사의 시제,상,태, (0) | 2025.02.03 |
전치사 for가 문장 중간에서 이유를 나타낼 때 (0)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