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
- 최완석
- 출판
- 니케북스
- 출판일
- 2015.12.01
2015년 출판 된 책인데 밀리의 서재에서 읽다가 전자책으로 읽으니 답답해서 도서관에서 종이책을 빌렸다. 이미 지난 주말에 대출했는데 도통 읽지 못하다가 오늘 읽어보려고 책을 펼쳤다.
읽다가 공부하게 된 것 정리
모르는 단어들
구간화채권, 파생결합증권
주식연계채권 (원금보장)
채권- 사전에 정해진 이자 지급, 현금흐름 미리 예측가능
만기가 있고, 원금이 보장되며 형태가 여러가지이다.
반면 주식은 미래 예측이 안되고 우선주, 보통주로 종류가 단순
IMF 이전에 채권은 안전하다는 인식이 있었다. 회사채를 은행이 보증해주어서 예금과 비슷한 성격을 지녔다.
그러나, IMF로 은행이 망하는 것을 보면서 이후에 회사채는 무보증으로 발행되었다.
동시에 채권이 더이상 안전하지 않다는 개념이 생겨났다.
양도성 예금증서 CD
Certificate of Deposit
말 그대로 은행에 예금을 예치하고 증서를 받는 것으로, 다른 사람에게 양도가 가능하다
보통 고정금리, 예치기간동안 금리가 변동하지 않는다
만기시 원금과 이자지급. 만기일 이전에 제3자에게 양도가 가능하다
발행시점에는 고정금리이지만 CD가 시장에서 거래될 때
시장금리에 따라 CD가치가 변동된다.
예) 어떤 사람이 1년짜리 CD를 3% 이자로 구매시 1년간 이 금리는 변동되지 않는다
만기까지 보유시 원금과 3%의 이자를 받으며 이자소득세 15.4%가 원천징수된다.
(금융종합과세가 적용되며, 2000만원이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 모든 소득을 합산하여
종합소득세 세율에 따라 6~45% 세금을 납부한다.)
다만, 만기 이전 제3자에게 양도시 사고팔때 새로운 시장금리가 CD매매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면 여기서 말하는 새로운 시장금리란 무엇인가.
한국은행금리=정책금리, 기준금리라고 부른다.
시장금리의 종류
1.콜금리(은행시장) - A은행이 B은행에서 돈 빌릴때 금리. 단기 자금 거래시 금리로 은행 자금 상황에 따라 변경된다. 여러 은행이 자금을 빌리려고 하면 여유자금을 가진 은행이 유리한 위치이므로 금리가 높아진다. 반대로 자금 (빌리려는) 수요가 적고 빌려줄 자금은 많으면 금리가 낮아진다.
2.채권금리(채권시장)
3.주택담보대출금리(소비자금융시장)
4.은행예금금리(소비자금융시장)
5.기업대출금리(기업금융시장) - 기업 대출금리가 상승시 소비자 가격도 상승할 수 있다. (기업 자금조달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소비자금융시장 - 대출, 카드, 예금 등 금융상품의 시장. 개인대출금리, 카드이자율 등이 포함된다
기업금융시장 - 기업 대출, 투자, 자산관리 포함.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시장금리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자금경색이 일어나면 (유동성 부족)
시장금리는 급등한다. (대출금리 상승)
유동성이 부족하다는 의미는,
돈을 빌리기 어려운 상태.
금융위기, 경제불안시기, 대출제한시기, 금융시스템에대한 신뢰가 하락하는 기간
금융불안정(주식시장 폭락, 은행파산.. 예, 2008년 리만브라더스 사태 등)
채무불이행증가 (사람들, 기업들이 대출 상환 못 하는 상태)
기준금리 인상기
시장금리가 3%일때 만기 5년 국채를 발행한 경우
시장금리가 4%로 상승시 기존 3%채권은 덜 매력적이 되기 때문에 채권 가격이 하락한다
(매수한 채권금리보다 시장금리가 상승하면 채권 매도시 손해볼 수 있다.
반대로 매수자는 싸게 매수할 수 있다?)
시장금리가 2%로 하락시 기존 3%채권은 매력도가 올라가며 채권가격이 상승한다
(이때-금리하락시, 채권을 만기 전 매도하면 매매차익을 누릴 수 있다.)
유동성
시장에 돈이 많다 = 유동성이 많다 (인플레 발생) <-------> 자금 경색 (경기 침체기)
시장에 돈이 많다는 것은 사용가능자금이 풍부하다는 것
은행이 돈을 쉽게 빌려주고
개인은 대출을 쉽게 받을 수 있고
투자자들은 투자기회가 많아지는 시기
그 결과, 기업은 투자가 늘고
소비자는 주택 구매 증가, 소비를 위한 대출을 쉽게 받을 수 있다
자금수요에 비해 공급이 많아지므로 금리는 낮아진다
낮은 금리는 돈을 더 많이 빌리도록 자극
이어서 물가가 상승한다 (인플레이션 발생)
구매력이 커져서 상품, 서비스 수요가 증가한다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 좀 있니? 채권해!(3) (0) | 2024.10.22 |
---|---|
디 이센셜 한강 (1) | 2024.10.22 |
이중 하나는 거짓말 (1) | 2024.10.22 |
채권 공부 - 돈 좀 있니? 채권 해(2) (3) | 2024.10.21 |
롤랑의 노래 (1) | 2024.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