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공부기록

분사

by 투게더 :) 2024. 12. 5.
728x90

챗지피티 답변.

영어에서 **분사(Participle)**는 동사의 형태 중 하나로, 형용사처럼 쓰여서 명사를 꾸미거나 보어로 사용됩니다. 분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1. 현재분사 (Present Participle)

• 형태: 동사 원형 + -ing
• 용도:
• 형용사처럼 명사를 꾸밈: The running man is fast. (달리는 남자는 빠르다)
• 진행형 동사의 일부: She is reading a book. (그녀는 책을 읽고 있다)
• 분사구문에서 사용: Seeing the dog, she smiled. (그 개를 보고 그녀는 웃었다)

2. 과거분사 (Past Participle)

• 형태: 일반 동사는 동사 원형 + -ed, 불규칙 동사는 따로 외워야 함 (예: gone, written)
• 용도:
• 형용사처럼 명사를 꾸밈: The broken vase was expensive. (깨진 꽃병은 비쌌다)
• 완료형 동사의 일부: She has finished her homework. (그녀는 숙제를 끝냈다)
• 수동태 동사의 일부: The book was written by her. (그 책은 그녀에 의해 쓰여졌다)

예문 비교

1. 현재분사:
• The singing bird woke me up. (노래하는 새가 나를 깨웠다)
2. 과거분사:
• The written book became a bestseller. (쓰여진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분사는 영어에서 문장을 압축하거나 부연 설명을 할 때 아주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근데 아이들은 '분사'라는 용어 자체를 어렵게 여긴다. 생각해보니, 나도 그냥 외웠지 왜 분사인지 몰라 용어에 대해 다시 질문.

우리말에서 **“분사(分詞)”**라는 용어는 한자에서 유래했는데, 이를 풀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분(分): 나눌 분
• 사(詞): 말 사

즉, “분사”란 동사를 나눈 형태라는 뜻이에요. 동사는 본래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인데, 분사는 이 동사에서 파생되어 동사적인 성격을 유지하면서도 형용사나 명사처럼 쓰일 수 있는 말이 됩니다.

왜 “분사”라고 부를까?

1. 동사에서 갈라져 나온 형식:
• 분사는 동사에서 만들어지지만, 문장에서 동사처럼 쓰이지 않고 **명사(현재분사)나 형용사(현재/과거분사)**처럼 사용돼요.
• 예: The crying baby (울고 있는 아기) → “cry”라는 동사가 “형용사”처럼 명사(아기)를 꾸미는 역할을 함.
2. 다양한 역할:
분사는 동사의 성질(시제나 능동/수동)을 유지하면서도 문장에서 새로운 역할(수식, 보충 설명)을 하기 때문에 동사와 문법적으로 **“나뉜다”**고 본 것이에요.

참고로 “분사”라는 용어는 영어에서도 비슷하게 쓰임!

영어에서는 participle이라고 부르는데, 이 단어의 어원은 participium(라틴어)에서 왔고, “부분적으로 참여하다”라는 뜻이에요. 즉, 분사가 동사로부터 갈라져 나와 형용사/명사의 역할에 참여한다는 개념을 나타내는 것이죠.

간단히 말해, “분사”는 동사의 성질을 가지면서도 문장에서 다양한 역할을 하는 특별한 형태라서 이렇게 부르는 거예요!



문법용어를 왜 그렇게 부르는지에 대한 설명을 듣고나니, 단순히 분사는 현재분사랑 과거분사가 있고, -ing붙이면 현재분사, p.p.는 과거분사야.. 라고 말할 때보다 더 구체적으로 느껴진다. 그리고, 챗지피티는 내가 원하는 궁금증을 해결해줄 때까지 계속 다시 물어야 한다.

정확히 말하면 **“분사”**는 품사나 문장 성분이 아니라, 동사의 한 형태를 가리키는 문법 용어입니다. 분사는 동사에서 파생된 형태로, 문장에서 특정한 역할(주로 형용사 역할)을 합니다. 이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분사는 “형태”를 나타내는 용어

• 현재분사(Present Participle): 동사 원형 + -ing
• 과거분사(Past Participle): 동사 원형 + -ed(규칙) 또는 불규칙 변화형
• 이 형태들은 동사의 성질을 일부 유지하면서도 형용사나 문장 성분으로 사용됩니다.

2. 분사의 문장 내 역할은 문맥에 따라 달라짐

분사는 **문장에서의 역할(문장 성분)**에 따라 품사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본질적으로 동사에서 파생된 형태일 뿐입니다.

예: 현재분사

• The crying baby is hungry.
• 여기서 crying은 형용사처럼 명사(baby)를 꾸미는 역할을 함 → 문법적으로 형용사 역할.
• She is crying.
• 여기서 crying은 동사와 결합해 진행형 시제를 형성 → 문법적으로 동사의 일부.

예: 과거분사

• The broken vase was expensive.
• broken은 형용사처럼 명사(vase)를 꾸밈문법적으로 형용사 역할.
• The vase was broken by the wind.
• broken은 동사와 결합해 수동태를 형성문법적으로 동사의 일부.

3. 분사를 품사와 문장 성분으로 나눠 보기

• 품사:
분사가 명사나 상태를 꾸미거나 설명하면 형용사 역할을 한다고 말할 수 있음.
• 예: The barking dog → barking = 형용사 역할.
• 문장 성분:
분사가 주어나 목적어 역할을 하는 경우는 없음.
대신, 분사구문은 부사구 역할을 하며 문장의 부연설명을 담당.
• 예: Running fast, he won the race. → Running fast =

“Running fast“는 문장에서 현재분사로 사용된 표현입니다. 이 구문은 달리기 빠르게 또는 빠르게 달리며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run은 “달리다”라는 동사이고, -ing를 붙여 현재분사 형태인 running이 됩니다.
• fast는 “빠르게”라는 부사로, running을 수식해 “빠르게 달리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따라서 “Running fast”는 빠르게 달리며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문장 속에서는 보통 분사구문으로 사용되어 부사구 역할을 합니다.

예문으로 보면:
• Running fast, he won the race.
• 해석: 빠르게 달리며, 그는 경주에서 이겼다.

여기서 **“Running fast”**는 부사구로, “빠르게 달리며”라는 상태를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미국 학생들이 분사 배우는 방법


미국에서 분사(Participle)는 보통 **중학교(Middle School)**에서부터 고등학교(High School) 초기에 걸쳐 본격적으로 배우기 시작합니다. 영어 문법 교육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분사를 배우는 시기는 다음과 같이 나뉠 수 있어요.

1. 초등학교(Elementary School)

• 대략적인 노출:
초등학교에서는 분사를 따로 가르치지 않지만, 동사의 기본 형태를 익히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현재분사(-ing)와 과거분사(-ed)에 노출됩니다.
• 예: I am running. / She has played.
이때 학생들은 분사를 문법적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문장에서 접합니다.

2. 중학교(Middle School, 6-8학년)

• 본격적인 학습 시작:
• 현재분사와 과거분사의 형태와 용법을 배우기 시작합니다.
• 분사구문(Participial Phrases)도 소개됩니다. 예를 들어:
Walking to school, she saw her friend. (학교에 걸어가면서 그녀는 친구를 봤다)
• 학생들은 주로 분사가 형용사처럼 명사를 꾸미거나 문장을 압축하는 방식에 대해 배우게 됩니다.

3. 고등학교(High School, 9-12학년)

• 고급 사용법 학습:
• 분사구문을 더욱 심화하여 문장을 풍부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학습합니다.
• 현재분사와 과거분사의 능동/수동 의미 차이를 배우며, 시제와 연결된 문법적인 뉘앙스를 익힙니다.
• 예:
The car parked outside belongs to me. (밖에 주차된 차는 내 것이다.)
The car parking outside is new. (밖에 주차하고 있는 차는 새 것이다.)

왜 이 시기에 배우나?

미국의 교육 시스템에서는 영어를 단순히 읽고 쓰는 것을 넘어, 문장의 구조를 이해하고 복잡한 문장을 만드는 법을 중학교와 고등학교 때부터 체계적으로 가르칩니다. 이때 분사와 같은 고급 문법은 글쓰기와 독해 능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도구로 쓰이기 때문에 이 시기에 도입됩니다.

결론

미국에서는 보통 **6학년(11~12세)**부터 분사에 대해 배우기 시작하고, 고등학교까지 점점 더 심화된 내용을 학습합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분사를 문법 용어로 배우기 이전에, 문장에서 사용하는 것을 먼저 익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국 중학생들이 분사를 배우는 방식

미국 중학교에서는 분사(Participle)를 문법적 용어로 가르치기보다는 실생활에 쓰이는 문장 속에서 자연스럽게 이해시키는 방식으로 접근합니다. 학습 과정은 주로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가르칩니다.

1. 현재분사(Present Participle)와 과거분사(Past Participle)의 기본 소개

• 목표: 학생들이 분사의 기본 형태를 이해하고, 명사 꾸미기(형용사 역할)를 배우도록 합니다.
• 방법:
• **현재분사(-ing)**와 **과거분사(-ed)**의 형태와 용도를 간단히 보여줍니다.
• 예문 중심으로 설명:
• 현재분사: The running boy is very fast.
• 과거분사: The broken window needs to be fixed.
• 비교 연습: The crying baby vs. The tired baby
• 활동 예시:
1. Fill-in-the-Blank:
문장에서 동사 원형을 보고 현재분사나 과거분사를 채우기.
• 예: I saw a ____ dog. (run → running)
2. Identify the Participle:
문장에서 분사를 찾아 역할을 말하기.
• 예: The cake eaten by the guests was delicious. (eaten = 형용사 역할)

2. 분사구문(Participial Phrases)의 도입

• 목표: 학생들이 분사구문을 사용하여 문장을 확장하거나 축약하는 법을 배우도록 합니다.
• 방법:
• 기본 문장과 분사구문을 비교하며 설명:
• Before: She saw a dog. The dog was running.
• After: She saw a dog running in the park.
• 과거분사를 활용:
• Before: The vase was broken. It lay on the floor.
• After: The vase, broken on the floor, looked sad.
• 활동 예시:
1. Rewrite the Sentences:
두 문장을 하나로 줄여보기.
• The man was shouting. He looked angry. → The man shouting looked angry.
2. Combine Using Participles:
단어들을 제공하고, 분사를 활용하여 문장을 만들어보기.
• Words: girl / sit / read a book → The girl, sitting on the bench, was reading a book.

3. 실생활 중심의 연습

• 목표: 분사가 실생활 문장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익히고, 문장 쓰기와 독해에 적용하도록 합니다.
• 방법:
• 책, 기사, 이야기 등에서 분사를 찾아보고, 그것이 명사를 꾸미는지, 문장을 압축했는지 이해합니다.
글쓰기 연습: 분사를 활용한 묘사 추가.
• Before: The dog barked loudly.
• After: The dog, barking loudly, woke everyone up.
• 활동 예시:
1. Creative Writing:
• “Describe your favorite place using participles.”
• A lake surrounded by trees, with water shimmering under the sunlight.
2. Participle Scavenger Hunt:
교재나 읽기 자료에서 현재분사와 과거분사를 찾아 용도를 설명.

평가와 연습

• 퀴즈와 테스트: 학생들에게 문장에서 분사를 구별하거나, 분사를 사용해 문장을 고치는 문제를 제공합니다.
• 협동 활동: 조별로 문장을 분사구문으로 바꿔보는 연습.

결론

중학교에서는 분사를 문법 용어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실생활 활용과 문장 확장에 초점을 맞춰 가르칩니다. 활동과 예문을 통해 분사의 기능을 자연스럽게 익히게 하며, 특히 분사구문은 학생들이 글쓰기에서 더욱 다양하고 풍부한 표현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현재진행형, 수동태에서의 현재분사나 과거분사와 형용사로 쓰일 때의 품사구분


현재진행형이나 수동태에서 사용되는 **현재분사(-ing)**와 **과거분사(-ed/불규칙형)**는 형용사가 아니라 여전히 동사의 일부로 사용됩니다. 이들은 문장의 시제, 태, 그리고 동사의 문법적 역할을 표현하는 데 기여합니다.

현재진행형에서의 현재분사 (-ing)

• 동사의 역할을 하며 진행 상태를 나타냅니다.
• 예: She is running fast.
• 여기서 running은 “형용사”가 아니라 be 동사와 함께 현재진행형 시제를 만드는 동사입니다.
• 이 경우 running은 동사의 일부로서 “달리고 있는 상태”를 표현할 뿐, 명사(주어나 목적어)를 꾸미지 않습니다.

수동태에서의 과거분사 (-ed/불규칙형)

• 동사의 역할을 하며 동작이 수동적으로 받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 예: The homework was finished by the students.
• 여기서 finished는 수동태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동사의 일부입니다.
• 문장에서 “형용사처럼 명사를 꾸미거나 상태를 설명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형용사 역할을 하는 분사와의 차이

동사 형태가 문장에서 형용사 역할을 할 때는 동사의 성질을 유지하면서도 명사를 꾸미거나 상태를 설명합니다. 이 경우, 현재분사나 과거분사는 형용사로 간주됩니다.
• 현재분사: The running water is cold. → 형용사 (물이 “달리고 있는” 상태)
• 과거분사: The broken glass is on the floor. → 형용사 (유리가 “깨진” 상태)

결론

• 현재진행형이나 수동태에서의 현재분사와 과거분사는 동사입니다.
• 분사가 명사나 상태를 수식하거나 설명하면 형용사로 쓰이는 것입니다.
이 둘은 문장에서의 역할에 따라 달라지므로, 문맥을 통해 구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동명사와 현재분사의 구분


**현재분사(Present Participle)**와 **동명사(Gerund)**는 형태는 동일하게 동사 + -ing로 끝나지만, 문장에서의 역할이 다릅니다. 이를 구분하는 방법은 간단히 말해, 문장에서 어떤 문법적 기능을 하는지를 보는 것입니다.

1. 현재분사(Present Participle)

• 형용사처럼 명사를 수식하거나, 동사의 일부로 쓰입니다.
• 주요 역할:
• 형용사 역할: 명사를 꾸밈
• The running water is cold. (달리는/흐르는 물)
• 분사구문: 문장에서 동작이나 상황을 부연 설명
• Seeing the dog, she smiled. (개를 보고 그녀는 웃었다)
• 진행형 시제의 일부: 동사의 현재진행형을 만듦
• She is reading a book. (그녀는 책을 읽고 있다)

2. 동명사(Gerund)

• 명사로 사용되어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로 쓰입니다.
• 주요 역할:
• 주어 역할: 문장의 주체가 됨
• Swimming is fun. (수영은 재미있다)
• 목적어 역할: 동사나 전치사의 목적어가 됨
• I enjoy reading. (나는 읽는 것을 즐긴다)
• She is good at drawing. (그녀는 그림 그리기를 잘한다)
• 보어 역할: 주격보어로 쓰임
• Her favorite hobby is painting. (그녀의 가장 좋아하는 취미는 그림 그리기다)

3. 구분하는 방법

• 문장 내 역할을 확인하라:
• 형용사처럼 명사를 꾸미거나 동사를 보충하면 현재분사.
• 명사처럼 동작 자체를 나타내면 동명사.
• 예문 분석:
1. Running is healthy. → 주어 = 동명사
2. The running boy is fast. → 형용사 역할 = 현재분사
3. I enjoy swimming. → 목적어 = 동명사
4. Swimming in the lake, she felt relaxed. → 부연 설명 = 현재분사

혼동하기 쉬운 예문

• I saw him swimming. → 현재분사 (그가 수영하는 것을 보았다 → 동사의 부연 설명)
• Swimming is my hobby. → 동명사 (수영은 내 취미이다 → 주어 역할)

정리

• 현재분사: 형용사처럼 명사를 꾸미거나, 동사와 연결되어 시제/부연 설명을 담당.
• 동명사: 명사처럼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담당.

문장에서의 역할에 따라 두 가지를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