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f you were on the field where you belong, we would've won."
- If절: "If you were on the field" → 과거형(be동사의 과거형 'were' 사용)
→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가정 ("네가 지금 경기장에 있었다면" → 실제로는 없었음) - 주절: "we would've won" → would have p.p. (would have won)
→ 과거의 결과에 대한 가정 ("그랬다면 우리는 이겼을 거야" → 실제로는 지거나 이기지 못했음)
원래 가정법 과거는 "If + 주어 + 과거동사, 주어 + would + 동사원형" 형태를 따르지.
문장은 **혼합 가정법 (Mixed Conditional)**이야.
왜 이렇게 썼을까?
이 문장은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가정(If절)" + "그로 인해 과거에 달라졌을 결과(주절)"**를 표현하는 혼합 가정법이야.
일반적인 혼합 가정법 형태:
✅ "If + 과거형, 주절에 would have p.p."
- If you were here, you would have seen it.
→ (네가 지금 여기 있었다면, 과거에 그걸 봤을 텐데.) - If she studied harder, she would have passed the test.
→ (그녀가 지금 더 열심히 공부했다면, 과거에 시험을 통과했을 텐데.)
정리:
너가 헷갈린 이유는 아마 일반적인 **가정법 과거(If + 과거형 → would + 동사원형)**와 헷갈렸기 때문일 거야. 하지만 이 문장은 **현재의 상태를 가정(If절)**하면서, 그 결과로 **과거에 달라졌을 결과(주절)**를 말하는 혼합 가정법이기 때문에 **would have p.p.**가 쓰인 거야! 😊
더 자세히 설명해볼게.
🔹 기본적인 가정법 정리
1. 가정법 과거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가정)
If + 주어 + 과거형 동사, 주어 + would + 동사원형
(→ 현재의 상황이 다르다면, 결과도 다를 거야)
✅ 예문:
- If you were taller, you would play basketball.
→ (네가 키가 더 컸다면, 농구를 했을 거야.)
→ 현재 네 키가 작다는 사실을 가정함
2. 가정법 과거완료 (과거 사실과 반대되는 가정)
If + 주어 + had + 과거분사, 주어 + would have + 과거분사
(→ 과거에 어떤 일이 달랐다면, 결과도 달라졌을 거야)
✅ 예문:
- If you had studied, you would have passed the test.
→ (네가 공부를 했었다면, 시험을 통과했을 거야.)
→ 실제론 공부 안 해서 시험을 통과 못 함
🔹 그런데, 혼합 가정법은 뭐야?
**혼합 가정법(Mixed Conditional)**은 "If절"과 "주절"의 시제가 다를 때 사용해!
즉, 현재의 사실이 다르다면 과거의 결과도 달랐을 것이라고 말할 때 쓰는 거야.
✅ 공식:
If + 주어 + 과거형 동사 (현재 상황 가정), 주어 + would have + 과거분사 (과거 결과 가정)
✅ 예문:
- If you were smarter, you would have solved the problem.
→ (네가 더 똑똑했다면, 그 문제를 풀었을 거야.)
→ "지금 네가 똑똑하지 않아서 과거에 문제를 못 푼 것"
🔹 네가 준 문장 분석
👉 "If you were on the field where you belong, we would've won."
① If절: "If you were on the field"
- 현재 네가 경기장에 없다는 걸 가정
-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내용 → 가정법 과거 사용 (If + 주어 + were)
② 주절: "we would've won"
- "네가 경기장에 있었다면, (과거에) 우리가 이겼을 텐데."
- 과거의 결과를 다르게 가정 → 주절에 would have + 과거분사 사용
💡 결론:
- 지금 경기장에 없었기 때문에(현재 상황 가정),
- 우리가 경기에서 이기지 못했어(과거의 결과 변화).
🔹 만약 일반적인 가정법 과거를 썼다면?
"If you were on the field, we would win."
- 이 문장은 **"지금 네가 경기장에 있다면, 지금 우리가 이길 텐데"**라는 뜻이 돼.
- 즉, 현재와 미래에 대한 가정일 뿐, 과거의 경기 결과를 바꾸는 문장이 아니야!
🔹 만약 일반적인 가정법 과거완료를 썼다면?
"If you had been on the field, we would've won."
- 이 문장은 **"네가 경기장에 있었더라면(과거 사실 가정), 우리가 이겼을 텐데(과거 결과 변화)"**라는 뜻이야.
- 즉, If절까지도 과거 사건을 가정하는 문장이지!
👉 하지만 원래 문장은 **"지금 네가 경기장에 있었더라면, 우리가 과거에 이겼을 거야"**라는 혼합된 가정을 하고 있어서 혼합 가정법을 쓴 거야!
🔹 최종 정리
❌ 잘못된 생각:
"가정법 과거가 나오면 주절에서도 would + 동사원형을 써야 한다!"
✅ 올바른 이해:
"현재 상황을 가정하고, 그 결과가 과거에 영향을 미쳤다면 혼합 가정법을 써야 한다."
✅ 그래서 원래 문장이 맞는 이유:
- 현재 네가 경기장에 있었다면 → 과거의 경기 결과가 달라졌을 거야.
- 그래서 **If절은 가정법 과거(were), 주절은 가정법 과거완료(would have won)**을 사용!
다음 문장도 **혼합 가정법(Mixed Conditional)**을 사용하고 있어! 하나씩 분석해볼게.
🔹 문장 분석
👉 "If you wanted to help, you could have not done this in the first place."
① If절: "If you wanted to help"
- 가정법 과거 (If + 주어 + 과거형 동사)
- "네가 돕고 싶었다면" →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가정
- 즉, 실제로는 네가 돕고 싶어 하지 않았다는 의미
② 주절: "you could have not done this in the first place."
- 가정법 과거완료 (조동사 + have + 과거분사)
- "네가 애초에 이걸 하지 않았을 수도 있어" → 과거의 결과에 대한 가정
- 즉, 과거에 어떤 행동을 하지 않았을 가능성을 말하는 것
🔹 왜 혼합 가정법일까?
- 현재(If절): 네가 돕고 싶은 사람이 아니라는 사실을 가정함 (가정법 과거)
- 과거(주절): 그렇다면 네가 애초에 이 행동을 하지 않았을 거라고 말함 (가정법 과거완료)
✅ 일반적인 혼합 가정법 공식
If + 과거형 동사 (현재 가정), 주어 + would/could have + 과거분사 (과거 결과 가정)
✔ 예문
- If you were smarter, you would have solved the problem.
→ (네가 더 똑똑했다면, 그 문제를 풀었을 거야.) - If she cared, she wouldn't have ignored you.
→ (그녀가 신경 썼다면, 널 무시하지 않았을 거야.)
🔹 문장의 의미
✔ "네가 정말 돕고 싶었다면, 애초에 이런 일을 하지 않았겠지."
✔ 즉, "너는 돕고 싶었던 게 아니라는 거야!" 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음.
🔹 다른 가정법과 비교
❌ 가정법 과거로만 썼다면?
- "If you wanted to help, you wouldn’t do this."
→ (네가 돕고 싶었다면, 이런 짓을 안 할 거야.)
→ 현재 상황만 가정하고 과거의 행동은 언급하지 않음.
❌ 가정법 과거완료로만 썼다면?
- "If you had wanted to help, you wouldn’t have done this."
→ (네가 돕고 싶었더라면, 이걸 하지 않았을 거야.)
→ 과거의 '의도'와 과거의 '행동'을 모두 가정함.
✔ 원래 문장은 현재의 의도를 가정하면서도 과거의 결과를 바꿀 가능성을 말하고 있음!
🔹 최종 정리
💡 혼합 가정법 사용!
- 현재 사실을 가정 (If절: 가정법 과거) → 과거 결과가 달랐을 것 (주절: 가정법 과거완료)
- 문장의 핵심 의미:
"네가 정말 돕고 싶었다면(하지만 그렇지 않음), 애초에 이런 일을 하지 않았겠지."
'이것저것 > 공부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건의 when/if의 차이는 확실/불확실성, 사실/가능성 (0) | 2025.02.15 |
---|---|
가정법 SUBJUNCTIVE MOOD (0) | 2025.02.12 |
[중학수학]평면도형-원과 부채꼴 (0) | 2025.02.10 |
[중학 수학] 최단거리 작도문제 (0) | 2025.02.05 |
if only (과거, 현재, 미래)와 가정법(과거, 과거완료, 미래)/ were to (1)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