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이것저것/공부기록47

가정법 복습(3) 가정법 현재가정법 미래가정법 과거가정법 과거완료  1.But for; Without (~가 없었더라면, ~를 제외하고는/제외하면) 2.I wish +가정법 과거/과거완료 3.As if/As though+가정법 과거/과거완료 (마치~인 것처럼/마치 ~였던 것처럼)As if/As though + to부정사 (마치 ~하려는 것처럼)주절 (시제)종속절 (시제) 현재 과거 현재사실 반대 (주절 시제의 반대사실)현재과거완료주절 동사시제보다 하나 더 과거의 시제 (과거 또는 현재완료)(가정법 시제의 반대사실, 과거사실 반대)과거 과거 과거사실 반대 (주절 시제의 반대사실)과거과거완료주절 동사시제보다 하나 더 과거의 시제 (과거완료)(가정법 시제-주절의 과거보다 더 과거의 반대사실, 더과거사실 반대) 4.혼합 가정법주.. 2025. 2. 20.
가정법 복습(2) 바나나쌤 책으로 한 번 공부하고, 이번엔 쓰이는 영문법1 다시 복습.작년 24년 1월에 공부했다고 표시되어 있는데 기억 안 나는 것 무엇?😶‍🌫️ 여기서도 역시나 IF절은 두 가지 종류가 있다고 설명.1.직설법-말하는 사람이 사실 여부를 모를 때2.가정법-말하는 사람이 사실을 이미 알고, 반대로 말할 때 고로 IF가 들어갔다고 내가 생각하는 그 가정법이 아니라는 것.직설법에서 IF절 안의 동사는 현재로 표현한다!(의미는 미래이지만, 표현은 현재동사로)예)If I find your wallet, I will give you a call.지갑 찾으면, 전화 할게.의미상으로는 If I (will) find your wallet(나중에) 찾는다면(찾는 경우) 2-1 가정법 과거 (현재사실의 반대)2-2 가정.. 2025. 2. 19.
가정법 복습(1) 😍오늘 공부한 내용을 머릿 속에 정리하기 위한 노트정리 😶‍🌫️ 임시 가정할 정임시로 정해서 말하는 방법가정법 1.모르는 상황을 이야기할 때 (~하는 경우, ~하면)(조건)(1인칭 관찰자 시점. 왜? 모르니까 이러쿵 저러쿵 아무얘기)A하면 B할거다. A라면 B하겠지... 2.이미 아는 사실의 반대를 상상(반대로, ..이랬으면 ...했겠지)(사실과 다른 동떨어진 상상)(전지적 작가시점. 왜? 사실이 아닌 걸 이미 아니까.그 반대로 상상해서 얘기하는 중이니까) 1-1.현재 또는 미래 : IF절 (동사 시제- 현재, 현재완료, 현재진행)+ 주절 (모든 시제 가능)1-2. 과거 : IF절 (과거 동사) + 주절 (모든 시제) 1-3.가능성이 희박한 경우1)가능성이 적음. 바라지 않는 일 : IF절 (sho.. 2025. 2. 19.
would가 나오면 모두 가정법일까? would + 동사가 항상 가정법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가정법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1. 가정법에서의 “would”“would”는 가정법에서 “만약 ~라면 ~할 것이다”라는 뜻으로 사용됨. • If + 주어 + 과거동사, 주어 + would + 동사 (가정법 과거) • If I had more time, I would travel the world.→ 시간이 더 있다면, 나는 세계 여행을 할 텐데. (현재 사실과 반대) • If + 주어 + had p.p., 주어 + would have p.p. (가정법 과거 완료) • If you had studied harder, you would have passed the test.→ 네가 더 열심히 공부했더라면, 시험에 합격했을 텐데. (과거 사실과.. 2025. 2. 18.
조건의 when/if의 차이는 확실/불확실성, 사실/가능성 조건을 나타내는 when과 if의 차이:1. 확실성의 차이 • when: 어떤 일이 확실히 일어날 때 사용합니다. • 예: Call me when you arrive. (도착할 것이 확실함) • if: 어떤 일이 일어날지 불확실할 때 사용합니다. • 예: Call me if you arrive. (도착할지 확실하지 않음)2. 일반적인 사실 vs. 가능성 • when: 반복적인 상황이나 일반적인 사실에도 사용됩니다. • 예: When water reaches 100°C, it boils. (언제나 참인 사실) • if: 특정 조건이 충족될 때만 해당되는 경우 사용됩니다. • 예: If you heat water to 100°C, it will boil. (조건을 가정)3. 시간의 의미 포함 여부 • whe.. 2025. 2. 15.
혼합 가정법 👉 "If you were on the field where you belong, we would've won."If절: "If you were on the field" → 과거형(be동사의 과거형 'were' 사용)→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가정 ("네가 지금 경기장에 있었다면" → 실제로는 없었음)주절: "we would've won" → would have p.p. (would have won)→ 과거의 결과에 대한 가정 ("그랬다면 우리는 이겼을 거야" → 실제로는 지거나 이기지 못했음)원래 가정법 과거는 "If + 주어 + 과거동사, 주어 + would + 동사원형" 형태를 따르지.  문장은 **혼합 가정법 (Mixed Conditional)**이야. 왜 이렇게 썼을까?이 문장은 **"현재 사실.. 2025. 2.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