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이것저것/공부기록47

가정법 SUBJUNCTIVE MOOD **“Subjunctive”**라는 단어 자체의 뜻을 보면, “주관적인” 혹은 **“가정적인”**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어원 분석 • Sub- → “아래, 부차적인” (under, secondary) • Junct- → “잇다, 연결하다” (join, connect) • -ive → 형용사형 접미사즉, **“직접적인 현실(indicative)과는 다르게, 어떤 조건이나 가정에 따라 연결되는 상태”**를 뜻해.쉽게 말하면, **“사실이 아니라 가능성이나 가정을 다루는 형태”**라는 의미를 가지는 거야.영어 문법에서의 의미문법적으로 subjunctive mood(가정법)는 “사실이 아니라 소망, 가정, 가능성, 요청” 등을 표현할 때 쓰이는 특별한 동사 형태를 의미해.즉, **“현실과는 다른 가능성을 상.. 2025. 2. 12.
[중학수학]평면도형-원과 부채꼴 중 1-2 블랙라벨 18강 1번 이등변삼각형과 주어진 각의 관계들 이용각과 넓이의 비례관계로 넓이 구하기  같은 강의 18강 6번조건에서 주어진 각을 K로 놓고 다른 각들을 K로 표현해서각과 넓이의 비례관계 활용해서 문제의 부채꼴 넓이 구하기이등변 삼각형, 한 각의 외각은 180 -(다른 두 내각의 합) 활용. 2025. 2. 10.
[중학 수학] 최단거리 작도문제 EBS 중학 프리미엄 블랙라벨 전범위(백은아 선생님) 강의 10강 작도와 합동 18:30 대칭 이동해서 직선거리고등학교에서 좌표와 연결됨 점A에서 직선L에 이르는 거리보다 조금 더 긴 선을 그어직선L에 교점 두 개가 생기도록 점A에 콤파스를 찍어 원을 그린다  직선L에 생긴 교점 각각에 콤파스를 찍고 선을 그어 교차하는 점을 만든다교차하는 점과 점A가 만나는 선을 그어수선을 작도(수직 이등분선이기도 함)  컴퍼스 쇠로 직선 L과 A의 거리를 측정해서 밑으로 같은 거리(간격)에 표시그 점이 A'   A'와 B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선분이 최단거리이므로L과 만나는 점이 P AP와 A'P는 거리가 같으므로 AB와 A'B는 같다      EBS 중학사이트(교육과정 개편으로 2025년에도 계속 강의가 남아 있을지 .. 2025. 2. 5.
if only (과거, 현재, 미래)와 가정법(과거, 과거완료, 미래)/ were to 📌 "If only" 완벽 정리!👉 "If only"는 가정법에서 사용되며, 소망이나 후회를 강조할 때 쓰는 표현이야!👉 "If" 단독 사용보다 더 강한 감정을 담을 수 있음.1. "If only"의 기본 의미💡 기본 개념:"If only + 주어 + 동사"뜻: "~하기만 하면 (좋을 텐데)", "~했더라면 (좋았을 텐데)"강한 바람이나 후회를 표현할 때 사용함."I wish"와 비슷하지만, 더 강조된 느낌!2. "If only"의 3가지 유형 (현재, 과거, 미래)📌 ① 현재에 대한 소망 → "If only + 과거형"→ 현재 상황이 다르기를 바람→ 가정법 과거 (현재 사실과 반대)✅ 예문:"If only I knew the answer!"→ (나 지금 답을 몰라. 하지만 알기만 하면 좋을 텐.. 2025. 2. 5.
I've got to go home. (have got to 표현; 해야 한다) **"I've got to go home."**의 의미는 **"나 집에 가야 해."**야.문장 분석I've got to → **"I have got to"**의 축약형"have got to" = "must" = "have to" (해야 한다)**"I've got to" = "I have to"**와 같은 의미go home → "집에 가다"home은 부사라서 전치사(to) 없이 go랑 바로 사용됨!❌ "go to home" → ❌ 틀린 표현✅ "go home" → ✅ 맞는 표현해석✅ "I've got to go home."→ "나 집에 가야 해." (해야 하는 일, 의무)👉 **"I have to go home."**과 같은 뜻이지만, **"I've got to go home."**이 더 **구어체적(일.. 2025. 2. 4.
a fool of a sister. (a ~ of a ~ 표현) "Now my fool of a sister can't get at you."문장 구조 분석Now → (부사) "이제"my fool of a sister → (명사구)fool (바보)of a sister → **"fool of a sister"**는 **"바보 같은 내 여동생"**이라는 의미"my fool of a sister" = "내 바보 같은 여동생"can't get at you → (동사구)can't → "할 수 없다"get at → "~에게 다가가다, 해치다, 영향을 미치다"전체 해석➡ "이제 내 바보 같은 여동생은 너에게 접근할 수 없어."또는➡ "이제 내 바보 같은 여동생이 널 건드릴 수 없어."📌 "get at"의 의미물리적으로 다가가다 → "She tried to get at the b.. 2025. 2. 4.
반응형